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백준 11726번 C++
- 프로그래머스 가장 큰 수 C++
- TOPCIT 문제 유형
- 유니티 Rigidbody 이동
- 유니티
- 백준 17299번 c++
- c++
- UML Diagram 정리
- 유니티 LTS
- 백준
- 배열 stack overflow
- long int 의 차이
- 차이
- TOPCIT 후기
- 1699번
- transform.position
- rigidbody.Moveposition
- 코드
- 백준 2225번 c++
- 로블록스 script local script 차이
- 백준 10799번 c++
- 백준 2193번 c++
- rigidbody.position
- 2644번
- 백준 10844번 c++
- 풀이
- bfs
- 프로그래머스 단체사진 찍기 C++
- 유니티 꿀팁
- 플레이어 이동
- Today
- Total
Kiki Devlog
[21.7.30] 로블록스 기초 공부 본문
* 저장시 file > save to roblox 하면 로블록스 서버 내에 저장되기 때문에 컴퓨터 바뀌어도 ok
Template
1. Theme : 특정 주제의 환경을 갖춘 템플릿
2. Game Play : 게임 기능을 갖춘 템플릿
- F - 지금 선택된 물체에 focus.
- Part(큐브, 실린더 등)의 이름은 파스칼 표기법 따르는 규칙(단어의 시작은 대문자로)
이동
모델 > 이동의 스터드 값을 조절하여 이동하는 간격을 좁히거나 늘릴 수 있음.
색, 재질
* 상단의 홈에서도 재질과 색 변경 가능.
보기 > 속성 클릭하면 화면의 오른쪽 하단에 나옴
여기서 brick color, color 을 통해 바꿀 수 있음
- brick color : 이미 정해져있는 색상들 중 선택하는 것
- color : 좀 더 정교하게 색상을 변경하는 것
- material : 표면 질감 바꾸기
충돌
behavior > cancollide 가 true(1)이면 충돌가능 false(0)면 충돌 불가능
투명
appearance > transparency에서 1은 투명. 0은 불투명 (유니티의 mesh renderer같은 것)
효과
part에 커서 대면 + 표시가 뜸 > 클릭
- fire : 불 추가 가능. fire 선택 후 우측하단의 data 항목에서 불의 색상, 크기, 세기(heat) 등을 설정 가능
heat값을 음수로 주면 불이 아래에서 나옴.
- particle emitter: 파티클들이 나옴(유니티의 particle과 같은듯). appearance에서 크기 등 조절 가능
시작지점
탐색기의 world space에서 spawn location 검색 후 추가. (번개모양의 네모박스)
중력
상단 바의 anchor을 클릭하면 중력 적용 x.
시간
탐색기 > Lightinh의 속성 중 Data > ClockTime으로 조절 가능
지형(물,산)
HOME > editor > edit > add> material setting > 원하는 material 선택. (brush settings 에서 크기 등을 바꿀 수 있음.)
캐릭터
plugin > Character inserter(toolbox 에서 plugin 선택 > moon animator다운받기) > insert 누르면 됨.
'Lua & Roblox > Roblo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ua] script 와 local script 차이 (루아) (0) | 2021.09.01 |
---|---|
[21.7.31] 루아 기초 공부 (0) | 2021.07.31 |